개항과 강화도조약

흥선대원군이 물러난 후 민씨정권은 그들이 대원군정권과는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키려고 노력하였다. 흥선대원군이 철폐한 만동묘1)를 다시 복구하는 등 서원의 전면적 복구와 함께 조세와 각종 부담금을 인하하거나 탕감해 주었다. 그러나 조세 경감 정책이란 국가 재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때 가능한 조치일 것이다. 그런 식으로 민씨정권이 민심 잡기에 몰두하는 동안 다른 한 편에서는 국가 재정이 바닥나고 있었다.

 반면 민씨정권의 대외정책은 전통적인 종속관계에 있던 청국에 의존하면서도 그 속에서 일정한 개방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런 가운데 민씨정권이 취한 대일 유화외교는 메이지유신 이후 정한론2)을 부르짖던 일본에게 조선 침략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일본은 조선이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 운요오호사건을 일으키고 그것을 빌미로 조선의 개항을 도모하였다.


고종이 장성했으니 친정(親政)이 가능하다

- 흥선대원군의 퇴진과 민씨세력의 집권

 민비는 영의정 민치록(致祿)의 딸로 9세 때 고아가 되어 본가에서 가난하게 자라다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부인 부대부인(府大夫人)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에 간택·책봉되었다. 그러나 부부 사이의 금실이 좋지 못했고, 더구나 궁인 이씨에게서 완화군(完和君)이 출생하자 이를 기뻐하는 흥선대원군에 대한 불만과 경계심으로 흥선대원군 반대파를 규합, 민씨 척족을 정부 요직에 앉히고 세력 기반을 착실히 다져 나갔다.

 1866년 민비는 양오라비인 민승호를 병조판서에 앉힌데 이어 여흥 민씨 일족들을 중앙과 지방의 주요 관직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중심으로 대원군에 불만을 품고 있던 이최응(흥선대원군의 친형)과 풍양 조씨의 조영하 등 반대세력을 규합하여 이미 1870년대 초두에 민씨세력은 확고한 정치세력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1871년에 민비는 원자(元子)를 낳았으나 5일 만에 죽자, 흥선대원군이 진상한 산삼(山蔘) 때문이라고 단정, 대원군에 대한 증오심을 더욱 불태웠다. 그러던 중 1873년 일본에 정한론(征韓論)이 대두되어 내외정세가 긴박해지고, 경복궁(景福宮) 중건으로 민생고(民生苦)가 가중되는 등 흥선대원군의 실정(失政)이 계속되자, 그를 탄핵하기 위해 유림(儒林)의 거두 최익현(崔益鉉)을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하였다. 이어 1873년 최익현(崔益鉉)을 앞세워 대원군의 정치를 정면으로 공격한 상소를 올리게 하여 고종의 친정(親政)3)을 선포하게 함으로써 대원군을 몰아내고 민씨 외척정권을 수립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