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란(왜란과 호란) 이후 조선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 문예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시기에는 양반 계층내의 부녀자가 문예에 참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많은 소설 문학의 창작과 전승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양반 서류(서자, 서얼)들 가운데에서도 공명 위주의 한문학을 탈피하고 국문학 활동을 하는 사람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그 단적인 예가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을 쓴 허균이다.


혁명을 꿈꾸며
- 허균의 홍길동전

 홍길동은 연산군 때 실제로 존재한 인물이었다. 『왕조실록』 연산군조에는 홍길동에 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강도 홍길동은 옥관자를 붙이고 붉은 띠를 두르고 당상관 차림의 고관이 되어 첨지 행세를 했다. 따라서, 버젓이 관청 출입을 하며 온갖 짓을 다했다. 그리고, 대낮에 떼를 지어서 횡행하는데, 모두 무장을 하였다.

 홍길동은 전무후무한 강도로서 재주가 비상하여 ‘홍길동이 재주’라는 말을 낳을 정도였는데 명종 때 임꺽정과 같은 의적이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허균은 실존 인물이었던 이 홍길동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꾸며 『홍길동전』이란 소설을 만들어 냈다. 거기에는 적서차별의 철폐, 탐관오리에 대한 응징, 새로운 이상사회(율도국)의 건설에 대한 그의 열망이 잘 나타나 있다.
『홍길동전』은 현실참여와 정치개혁을 위해 어떤 목적의식을 가지고 쓰여졌다고 할 수 있다. 허균은 실제로 혁명을 꿈꾸었고, 참위설에 의하여 청의 흥기와 다가올 혼란을 예언하기도 하였다. 또한 추종자들로 하여금 유언비어를 퍼뜨리게 하여 서울 주민의 절반 이상이 피난하는 소동을 빚게 한 장본인이었다. 허균도 당시 대부분의 서얼 출신들과 마찬가지로 서얼의 관직 진출을 막고있는 사회의 불공평한 대우에 불만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허균은 항상 ‘나라에 큰 사변이 났다.’고 떠들어 대고 다녔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혁명적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그는 자신의 혁명적 기질 때문에 죽음을 당하였지만 그의 문학적 재질에 대해서는 서포 김만중도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그가 쓴 『홍길동전』은 그의 문학적 재질뿐 아니라 사회 혁명사상까지 담고 있어서 조선의 문학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이 되고 있다. 더욱이 최초로 쓰여진 한글소설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와 영향력은 대단히 큰 것이다.


관에 대한 민중의 항거
- 춘향전

『홍길동전』이 나타난 1세기 후에 판소리가 등장하였다. 광대가 한 편의 이야기를 노래와 아니리(이야기)로 부르는 판소리는 서민문학과 양반 사대부의 문예를 모자이크적인 수법으로 엮어 국민문학적인 성격을 띠었다. 따라서 판소리는 삽시간에 퍼져나갔고, 사대부는 물론, 일반 민중에게도 크게 환영을 받았다.
 판소리 중 가장 많이 불리운 것이 바로 『춘향전』이다. 『춘향전』은 조선 말기에 가장 사랑을 받았던 판소리였다.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책방 도령 이 도령과 춘향 사이에 사랑이 싹트고, 이 도령이 서울에 올라간 다음에 신임 사또 변학도의 수청을 거부하고 정절을 지킨 춘향이, 과거에 합격하여 암행어사로 내려온 이 어사와 다시 만난다는 줄거리이다.
 그러나 일개 관기(기생)에 불과한 춘향이 변학도의 수청을 거부한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사실은 곧 관에 대한 민중의 항거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불가능하게까지 여겨지는 춘향의 항거를 통하여 듣는 이들에게 속시원함을 안겨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춘향전』이 민중의 환영을 받았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춘향전』은 한말에 이르러 원각사 무대를 통하여 창극으로 만들어졌고 이해조에 의하여 『옥중화』로 출판되었다. 인쇄본의 보급으로 일반 대중은 판소리에 의하지 않고도 이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