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가 날 정도로 책만 보는 바보가 있었다. 그는 동서고금의 책을 두루 읽어 시문에 능하였고, 규장각이 설치될 때 뛰어난 지식으로 검서관에 등용되었다. 규장각에 등용되어서는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여러 서적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유득공, 박제가, 서이수와 더불어 사검서(四檢書)로 이름이 알려졌다. 또 그에게는 홍대용, 박지원, 성대중 등의 벗이 있었는데, 모두 당대 최고의 학자들이었다. 평생 책만 읽는 것을 즐거움으로 살았다던 이 바보, 그가 바로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였다.

 이덕무의 열렬한 책 사랑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목멱산(남산) 아래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산다. 어눌하여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성격마저 졸렬하고 게을러 세상일이라곤 알지 못한다. 바둑이나 장기 놀이 따위는 더욱 알지 못한다. 다른 사람들이 욕을 해도 들은 체도 하지 않고 칭찬해도 좋아하지 않고 오직 책을 보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아 춥거나 덥거나 배고프거나 전혀 느끼지 못했다. 어렸을 때부터 스물한 살이 될 때 까지 하루도 손에서 책을 놓은 것이 없었다. 매우 좁은 방에서 살지만 동쪽, 남쪽, 서쪽에 창문이 각각 있었는데 햇빛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동쪽 창문에서 서쪽 창문으로 옮겨 가며 책을 본다. 보고 싶었던 책을 보면 기뻐서 큰 소리로 웃기에 집안사람들은 웃음소리만 들어도 보고 싶었던 책을 본다는 것을 알았다. 또 중국의 대시인 주보의 오언율시를 특히 좋아하여 병을 앓는 사람 인양 웅얼웅얼 거리고 깊이 생각하다가 심오한 뜻을 깨우치면 기뻐서 일어나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한다. 기뻐서 큰 소리를 내는 것이 갈가마귀가 소리를 내는 것 같기도 하다. 혹은 조용히 아무 소리도 없이 눈을 크게 뜨고 멀거니 보기도 하고 혹은 꿈꾸는 사람처럼 혼자서 중얼거리기도 한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책만 보는 바보’라고 놀려도 웃으며 받아들인다. 전기를 써 주는 사람이 없기에 붓을 들어 그 일을 써서 [간서치전(看書痴傳)]을 짓고 성명은 기록하지 않는다.

 이덕무의 자서전인 이 이야기가 지어진 것은 그의 나이 스물한 살 때이다. 하루도 손에서 책을 놓은 적이 없고 온종일 햇살을 따라 상을 옮겨가며 책을 보았다는 그의 이야기는 부럽기도 하고, 또 조금은 안쓰럽기도 한다. 스물 할 살이면 요즘으로 치면 대학교 2학년의 한창 나이인데, 어찌하여 그는 날마다 방에서 책만 보고 있었던 걸까? 책 읽기는 그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사실 이덕무는 서얼 출신이었다. 조선 시대에 서얼이라는 것은 관료로서 출세할 수 없다는 것, 사회적 차별 속에서 평생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책을 읽으면 선비이고, 벼슬을 하면 대부(讀書曰士 從政曰大夫)’말이 있듯 독서란 곧 관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서얼 출신 이덕무에게 책 읽기란 어찌 보면 모순된 일이다.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덕무의 순수한 책 읽기는 시작된다. 출세를 하고 이름을 떨치기 위해서가 아닌 그야말로 순수하게 책이 좋아서, 책을 읽는 것 자체가 기쁨이어서 그는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였다.

 여러 성현들이 남긴 경전과 이런저런 믿을 만한 역사책들 속에 푹 잠겨 헤엄치듯 그 책들을 읽어내어 오묘한 이치를 얻어내고야 말리라. 그리고 그 밖의 패관야승과 잡가의 말을 섭렵한다면, 천지간에 가득한 책을 거의 다 보아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천지의 모든 책을 다 보리라는 야심 찬 계획이 무색하게 이덕무의 집안은 매우 가난했다. 그래서 이덕무는 책을 빌려보는 것으로 책탐(冊貪)을 해소하곤 하였다. 그의 글에 책을 빌리고 빌려주는 이야기가 많은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이다.

  만권의 장소를 두고도 빌려주지도 않고, 햇볕을 쪼이지도 않는 사람이 있다 하자. 빌려주지 않는 것은 어질지 않은 것이오, 일지 않은 것은 지혜롭지 않은 것이오, 햇볕에 쪼이지 않은 것은 부지런하지 않은 것이다. 사군자라면 반드시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빌려서라도 읽어야 하나니, 책을 묶어놓고 읽지 않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할 것이다. 책을 빌려 주어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은 곧 재물을 주어서 가난과 궁색함을 모면할 수 있도록 돕는 일과 똑같다고 할 수 있다.

 이덕무는 책을 빌릴 때 갖추어야 할 예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기는 쉽지만 깨끗한 책을 빌리기는 어려운 요즘, 그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른 사람의 책을 빌렸을 경우에는, 정확하고 세밀하게 읽고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을 가려 뽑은 다음 책을 돌려주기로 한 기한 내에 갖다 주어야 한다. 시일을 끌어 돌려주기로 한 기한이 지나거나 책 주인이 독촉하는데도 돌려주지 않는 짓 따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 또 다른 사람에게 남의 책을 빌려주어 훼손하거나 잃어버리면, 행실을 더럽히는 일이 된다. 빌린 책을 다 읽고 나면 마땅히 먼지를 털고 시작과 끝을 순서대로 정돈하고 보자기에 싸서 돌려주어야 한다. 책을 빌려서 얇은 종이를 책 위에 엎고 복사하거나 필사할 경우, 훼손되기 쉬우므로 더욱 정성을 드려 책을 아끼고 보살펴야 한다.

 그렇다면 이덕무 식 책 읽기는 어떤 것일까? 이덕무는 무엇보다 규칙적인 독서 습관을 기를 것을 강조한다.

 독서 시간이나 글을 읽는 횟수를 정하되, 정해진 시간을 제멋대로 넘나들며 더 읽기도 하고 덜 읽기도 해서는 안 된다. 나는 어릴 때 하루도 공부하는 과정을 빼먹은 적이 없었다. 아침에 40~50줄을 배워서 하루 50번을 읽었는데, 아침부터 저녁까지 다섯 차례로 분배하고 한 차례에 열 번씩 읽었다. 몹시 아플 때가 아니고서는 어기지 않았다. 그러므로 공부하는 과정이 여유가 있고 정신이 집중되었다. 그때 읽은 글은 지금도 그 대강의 의미는 기억이 난다.

 또 얼마나 많은 책을 읽었느냐 보다 얼마나 제대로 이해했느냐를 중요하게 여겼다.

 어린아이에게 독서를 시킬 때 가장 금기로 여겨야 할 일은 많은 분량을 읽게 하는 일이다.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고 민첩한 아이에게 조금만 읽고 외우게 하는 것도 좋은 일이 아니지만, 어리석고 둔한 아이에게 많은 분량을 읽도록 하는 것은 마치 약한 말에게 무거운 짐을 싣는 것과 같다. 그러고서 어떻게 멀리 갈 수 있기를 바라겠는가?

 독서하는 분량을 적게 하여 익숙해질 때까지 읽어 뜻을 제대로 알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만약 이렇게 한다면 비록 어리석고 아둔해 잘 외우지 못한다고 해도 용서할 일이다. 다만 읽는 데만 헛되이 시간을 낭비하고 잘 외우지도 못한다면 각별히 주의하여 읽고 외우는 일을 보살펴야 한다.

 이덕무는 이렇게 책을 읽어 높은 지식을 쌓았다. 날 때부터 사람의 운명을 갈라놓은 신분 제도의 문제점 때문에 그가 쌓은 지식을 마음껏 펼치지는 못하였으나, 그는 책 읽기에서 인생의 참 맛을 느끼고 책 읽기를 즐긴 진정한 지식인이었다. 책은 날로 넘쳐나지만 독서하는 교양인은 줄어들고 인문서는 팔리지 않는 요즘, 우리에게는 이덕무의 열정이 필요하다.


고등학생을 위한 역사도서 길라잡이

-역사와의 만남과 소통

교육인적자원부

광주광역시교육청

2008.1.22 (주)성문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