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란 뜻으로 사기(史記)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춘추시대 제(齊)나라 순우곤(淳于坤)이란 사람은 비록 키가 작긴 했으나, 뜻이 높고 의지가 곧았을 뿐 아니라 재치와 변설 또한 능하여 나라를 위한 외교에 많은 공헌을 해왔다.
당시 위왕 8년에 초(楚)나라가 군대를 동원하여 제나라를 침공해 왔다.
왕은 순우곤에게 이웃 조(曺)나라에 가서 도움을 청해 오도록 하면서 황금 백근과 수레 열대를 예물로 가져가게 하였는데, 순우곤이 하늘을 우러러 보며 크게 웃으니 자신이 쓴 관끈이 터져 버렸다.
이를 지켜본 위왕이 “내가 보낸 예물이 적어서 그러는 것입니까”라고 물으니 순우곤은 “어찌 감히 그럴 수 있겠습니까마는 제가 웃는 까닭은 신이 어제 궁궐로 오던 중 동편 어느 곳에서 풍년제를 지내고 있었는데, 기기에는 돼지 발굽 하나와 술 한잔(豚蹄一酒)만을 차려놓고는 빌기를 올해에는 높은 밭에는 채롱이 가득하고, 낮은 밭에는 오곡이 풍성하여 그 수확이 집집마다 가득 넘치게 하시기를 기원하였습니다. 신은 그들이 차려놓은 것은 볼품이 없는데 바라는 것은 너무 거창하였기에 웃었던 것입니다”라고 했다.
이에 위왕은 크게 느낀 바가 있어 다시 황금 천일과 백벽(白碧) 열쌍, 마차 백대를 추가로 더 가져가게 하였다.
순우곤이 위왕의 그 같은 예물을 조왕에게 바치고 지원을 요청하자 조나라에서는 정병 10만을 내어 지원토록 하니 이 소식을 들은 초나라 군은 밤중에 급히 물러나게 되었다는데서 유래한 말로 이는 작은 성의를 놓고 너무 큰 기대를 해서는 안된다는 교훈의 뜻이 담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