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公爲履飾以金玉(경공위리사이금옥)
경공이 신발을 금옥으로 장식하려고 하자,
晏子諫(안자간)
안자가 간하다.
景公爲履(경공위리) 黃金之綦(황금지기) 飾以銀(식이은)
경공이 신발을 만들었는데, 황금으로 끈을 삼고, 은으로 장식하였으며,
連以珠(연이주) 良玉之絇(양옥지구)
구슬을 꿰었고, 좋은 옥으로 그 매듭을 만들었다.
其長尺(기장척)
그 길이는 한 자나 되었으며,
冰月服之以聽朝(빙월복지이청조)
얼음이 어는 겨울인데도 이를 신고 조회를 받으려 하였다.
晏子朝(안자조) 公迎之(공영지)
안자가 조회에 나오자, 경공이 맞이하였다.
履重(이중) 僅能擧足(근능거족)
그런데 신이 너무 무거워, 겨우 발을 들을 수 있을 정도였다.
問曰(문왈)
그러면서 안자에게 물었다.
天寒乎(천한호)
"날씨가 춥지요?"
晏子曰(안자왈)
안자가 이상히 여겨 되물었다.
君奚問天之寒也(군해문천지한야)
"임금께서는 무슨 이유로 날씨가 추우냐고 물으십니까?
古聖人制衣服也(고성인제의복야)
옛 성인들이 의복을 제정함에는,
冬輕而暖(동경이난) 夏輕而淸(하경이청)
겨울에는 가볍고 따뜻하게, 여름에는 가볍고 시원하게 하였습니다.
今金玉之履(이금옥지리) 冰月服之(빙월복지)
지금 근과 옥으로 만든 신을, 한 겨울에 신고 계시니,
是重寒也(시중한야)
이는 차가움을 가중시키는 것입니다.
履重不節(이중부절)
또 신이 무거워 절도가 없으니,
是過任也(시화임야)
이것은 신의 본래의 기능을 넘어선 것일 뿐더러,
失生之情矣(실생지정의)
삶의 도리에도 어긋나는 것입니다.
故魯工不知寒溫之節(고로공부지한온지절)
따라서 노(魯)나라 출신의 그 신발 공인(工人)이 한온(寒溫)의 절도나,
輕重之量(경중지량) 以害正生(이해정생)
경중(輕重)의 헤아림도 모르면서, 올바른 삶을 해치는 짓을 하였으니,
其罪一也(기죄일야)
그의 죄는 이것이 첫 번째 입니다.
作服不常(작복불상)
그리고 신을 만들되 상(常)에 어긋나게 하여,
以笑諸侯(이소제후)
제후들의 웃음거리가 되게 하였으니,
其罪二也(기죄이야)
이것이 그의 두 번째 죄입니다.
用財無功(용재무공) 以怨百姓(이원백성)
재물을 쓰고도 성과가 없어, 백성들로 부터 원망만 샀으니,
其罪三也(기죄삼야)
이것이 세 번째의 죄입니다.
請拘而使吏度之(청구이사리도지)
청컨대 그 자를 잡아 가두고 관리로 하여금 치죄하게 하시지요!"
公曰(공왈)
이 제의에 경공은 이렇게 두둔하였다.
魯工苦노공고)
"누나라 신발공은 수고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請釋之(청석지)
청컨대 풀어 주시지요"
晏子曰(안자왈)
안자는 단호하기 대답하였다.
不可(불가) 嬰聞之(영문지)
"안 됩니다. 제가 듣기로는,
苦身爲善者其賞厚(고신위선자기상후)
‘자신의 몸을 노고하게 하면서 일을 잘한 자는 그에 맞게 후한 상이 주어지고,
苦身爲非者其罪重(고신위비자기죄중)
그 몸만 노고하게 하면서 잘못을 저지른 자는 그 죄가 무겁다’라 하였습니다.
公不對(공부대)
경공은 아무런 대꾸를 하지 못하였다.
晏子出(안자출) 令吏拘魯工(영이구로공)
안자가 나가자, 관리를 시켜 노나라 신발공을 구금케 하였다.
令人送之境(영인송지경) 使不得入(사부득입)
이어서 사람을 시켜 국경 밖으로 보내고는, 다시 들어 오지 못하게 하였다.
公撤履(공철리) 不復服也(불복복야)
경공은 그 신발을 치워 버리고, 다시는 신지를 않았다.
-晏子春秋(안자춘추)(38) 제2권 內篇諫下(내편간하)(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