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피차별 부락의 소재지 등을 기재한 차별도서 「부락지명총람」이 오사카 시내의 흥신소에서 발견된 사실이 부강해방동맹 오사카 부 연합회 조사에서 밝혀졌다. 법무성은 75~78년에 8종류의 지명 총람을 확인, 89년에 조사를 종결했다고 발표했으나, 이번에 발견된 것은 다른 종류라고 한다. 오사카 부 인권실은 결혼 등의 신원 조사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조건 위반에 해당하는지 조사에 들어갔다.

동 연합회에 따르면, 발견된 부락지명총람은 손글씨를 복사한 것으로 A4판 330페이지. 전국의 피차별 부락에 대해 지명이나 소재지 등을 기재하였다. 오사카 부내의 피차별 부락은 가장 가까운 역에서의 거리나 가는 길 등을 기재해, 지구(地區)의 범위를 특정하고 있다. 전철의 역명 등으로 미루어 보아 6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동 연합회는 행정서사들이 부정하게 취득한 호적등본 등이 흥신소에 팔려 나가 신원 조사에 사용된 문제를 조사해 작년(2005년) 12월에 조사처인 흥신소에서 (총람을) 발견했다. 지명총람에 대해서는 기업 등이 취직자의 신원 조사용으로 구입한 점에서 법무성이 조사, 89년에 발행인이나 구입자 등에게 권고하여 사안의 해명을 종결했다고 선언했다. 오사카 부는 85년에 「부락차별조사구제조례」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그 후도 복사본이 나도는 등 차별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지명총람을 소지하고 있던 흥신소의 경영자는 아사히 신문의 취재에 대해 「이번에는 결혼의 신원 조사는 하고 있지 않다. 지명총람을 써서 출신지를 조사하는 건 어느 흥신소에서나 다 하는 일이다」라고말하고 있다.

 

 

부락민(부라쿠민)이란?

 

전근대 일본의 신분 제도 아래에서 최하층에 위치해 있었던 천민.

메이지 유신에서 신분제가 철폐되면서 공식적으로는 혁파된 일본 사회의 계층.

에도 시대에는 비인(非人, 불교의 법화경에서 유래했다. 말 그대로 인간이 아닌 것이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의미)

이라고 불렸으며 터부시 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

즉 망나니, 장의사, 백정 등 이나 전쟁포로, 전염병 보균자 등이 여기로 분류되었다.

이름 그대로 일본에서 '인간미만 취급을 받아왔다.

 


 

한국의 신분제와의 차이점

여기까지라면 조선의 백정이나 노비나 한센병 환자 또는 인도의 카스트제도 중 불가촉천민과 크게 다를 바도 없지만...

놀라지 마라. 이들에 대한 차별은 문명국이라 자부하는 일본에서, 21세기인 오늘날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한국에선 과거 천민의 후손들이 차별을 받는 일은 거의 없기에 이런 건 생소한 점이다.

우선 조선후기 신분질서 붕괴로 성 가지고 출신을 따지는 게 불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천방지추마골피도 딱히 노비 성이 아니다.

거기다 1950년의 한국전쟁으로 사람들의 출신지를 알 수 없게 된 것이 결정타였다.

나라가 초토화되고 사람들이 수도없이 죽어나가든가 떠돌아다니는 와중에 백정마을이고 뭐고 다 해체되어

누가 백정인지 알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일부 사람들을 제외하면 사회 전반적으로는 가문 따지는 건 자뻑용 설정놀음쯤으로 취급받는다.

 

 

현대 부락민(부라쿠민)에 대한 차별

그런데 부라쿠민은 아직도 이유없이 까인다.

70년대까지만해도 부락민 출신은 노골적으로 차별 받는 일이 다반수였고,

관동 대지진 때나 태평양 전쟁 말기때 이들은 특히 일본 극우세력들로부터 '화풀이'식으로 참혹하게 당하는 경우도 빈번했다.


1980년대에 일본을 방문한 한 사업가는 당시 잔존해 있던 부라쿠민의 동네에 대해,

여자들은 가끔 관청의 허가를 받아서 감시하에 일반인 동네로 나와서 생필품을 사 갈 수 있으나

남자들은 절대 나오게 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그 동네에 '일반인이 들어가면 살해당할 것이 자명하므로 절대 접근하지 말라'고 전하고 있다.

직접 만나본 적도 없으면서 무슨 예비범죄자 취급


국토교통성 발간 지형도에서도 그 동네는 지도상에서 존재하지 않고 아는 사람만이 알음알음으로 알며,

일본의 언론 또한 국익수호 차원에서 지금도 잔존하는 부라쿠민 동네에 대해서는 기사를 쓰지 않기로 자주규제중이라고 한다.

그리고 구글 어스에서 고지도와 현재 지형을 겹쳐볼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면

부라쿠민이 살았던 마을을 볼 수 있다고 해서 한때 문제가 되었다.

구글 어스 기능 자체의 문제라기보단 2차 사용에 따른 악영향이 문제된 것.

일본 총무성에서도 처음에는 이 기능에 대해서 반대하지 않았지만,

부락민 단체들의 건의에 의해, 그들에게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구글에게 총무성 이름으로 요청한 것이다.

그에 대해 구글은 원천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능을 삭제하였다.

 


1975년 11월 적발된 부락지명총람..잘못한건 아는지 겉에는 "인사극비"라고 적혀있다

내용은 일본 전국의 부락의 지명, 주소, 주민들의 주요 직업 등의 데이터가 있었기에,

부락 출신자라고 의심받는 인물에게는 입 밖에 내고 싶어하지 않는 것들을 추궁할 수 있는 공격질문을 만들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오늘날은 일본 경제의 급성장과 정부 주도의 처우 개선 노력등으로 인해

부라쿠민 거주지의 주거 환경은 상당 부분 개선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암암리에 '부라쿠민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취직, 결혼 등에서 감당할 수 없는 불이익이 없다고 할수는 없기 때문에,

일본 사회의 민감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일본의 기업인사담당자들이 특수부락지명총람등 탐정사무소, 흥신소 등에서 비밀리에 발간,유통하는 리스트를 구입하여

지원자의 출신지를 가려내는 데에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꽤 있었다.

특수부락지명총람의 존재는 일종의 도시전설로 여겨졌으나,

1975년에 최초로 부락지명총람사건이 언론에 드러나면서 그 실체가 드러났고

최소 9종류의 책자가, 채용, 결혼 문제 등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시대의 정서에 역행함을 알고도 발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부라쿠민 차별철폐운동이 진행될수록 색출작업도 고도화되어,

1990년에는 도쿄 도내의 행정서사들에 의한 부라쿠민 의심자 족보구매사건,

1998년에는 오사카 시내의 대형 흥신소가 기업들로부터 차별신원조사를 의뢰받은 사건 등이 일어났다.

이러한 필터링은 물론, 없는 죄를 뒤집어 씌우는 사례가, 믿기지 않지만 실제로 있다.

1963년 5월 1일의 사야마 사건(狭山事件)이라는, 사이타마현 사야마시에서 일어난 여고생 납치피살사건에서

경찰측이 납치범을 잡지 못하자 대신 시 근처의 부락에 쳐들어가서

당시 24세의 이시카와 카즈오(石川一雄)를 붙잡아 고문 후 자백을 받아내는 대규모 병크를 저질렀다.

이시카와 용의자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94년에 가석방되었다.

 


2007년 6월 1일 주간포스트 표지.

왼쪽에 부락지명총람과 일본기업 이것이 취직차별의 현장이다!!라고 나와 있다.


아소 타로가 자민당 총리 후보 중 하나였던 노나카 히로무를 까면서 한 말이

"저런 부락민 출신 같은 놈이 천황폐하를 보좌한다면 일본은 그대로 망할거다."였다고 한다.

격분한 노나카 히로무는 TV에 출연해 "결코 용서치 않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우익 및 집권 세력들이 부락민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노나카 히로무는 부라쿠민 출신.

애당초 부라쿠민 딱지만 아니었다면 고이즈미 준이치로 대신 노나카가 총리에 오를 가능성도 있었다.

실제로 이 당시 노나카 히로무의 직함이 자민당 간사장이였는데

대한민국으로 따지자면 한나라당 총재에 해당되는 위치이다.

한마디로 가장 강력한 대통령 당선 후보인 셈.


한국에선 '부락(部落)'이 마을을 뜻하는 한자어일 뿐이지만,

일본에선 차별용어이자 금기어니 혹시 일본어 문장을 취급할 일이 있다면 주의하자.

소설 등에서 '부락'이라는 단어를 쓴 것에 대해서도 관련단체에서 항의하여 판매금지 시키는 일도 많다.

집락(集落)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고, 일본의 인터넷상에선 B라는 은어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강 건너(川の向こう)라는 식의 속어도 쓰이고 있다.

실제로 부락민 출신이라고 판단되는 소설가 나카가미 켄지는 "골목길(路地)"이라고 돌려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