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6년 정조 때 세워진 규장각은 본래 역대 선왕의 초상이나 친필, 인장 등을 보관하기 위한 기관이었으나, 그 후 국내외의 귀중한 도서를 보관하고 중요 서적을 출판하거나 학술 연구 기능까지 수행하는 기관으로 발전하였다.  외규장각은 규장각이 창설된 지 5년 후인 1781년(정조 5년) 강화읍성 내 행궁 자리에 세워졌다. 외규장각은 실록을 보관했던 사고와는 달리 왕실관계의 특별한 가치를 지닌 중요 기록을 보관하는 기관이었다. 즉, 규장각 도서 가운데서도 특별히 보존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서적만을 골라 외규장각에 이송 보관하였다. 외규장각을 강화도 행궁지에 설치한 이유는 국내의 변란이나, 밖으로 외적의 침입에서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곳으로 믿었기 때문이다. 본토와 강화도 사이의 좁은 염하 해협은 조수의 흐름이 매우 거세고, 하루에도 간만의 차이로 흐름이 몇 차례 바뀌는 등 천연의 요새였다. 몽고 침략군이 40년에 걸친 기간에도 염하 해협을 건너지 못했던 데서 강화도의 지형적 특성을 잘 알 수 있다. 외규장각 도서의 수는 점차 증가하였는데 1866년 병인양요가 벌어지기 직전에는 1,042종, 6,130책에 이르렀다.

 1866년 병인양요 때 조선을 침공한 프랑스군은 강화를 점령한 후 강화 읍내의 각 관아를 수색하여 국가 비상시에 대비하여 강화에 보관해오던 국가 소유의 이른바 “봉고은”이란 은궤 19개(887.55kg)를 약탈하였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로즈사령관은 문화재 수탈 작전을 명함으로써 프랑스군에 의한 외규장각 도서의 탈취가 자행되었다. 바로 침공군 최고지휘권자의 명령으로 문화재 약취 작전이 전개되면서 ‘외규장각 도서 약취 사건’이 벌어졌다. 활동을 개시한 프랑스군은 “국왕이 드물게 거처하는 저택에서 아주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수많은 서적들로 가득찬 도서실”, 즉 외규장각 도서를 약취하여 본국으로 불법 반출해 갔다. 이 때 340종의 귀중 도서와 그 밖의 문화재가 탈취되어 불법으로 반출되었고 340종의 외규장각 도서들은 오랫동안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 보관되어 왔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프랑스군이 퇴각하면서 340종을 제외한 나머지 수천 권의 중요 도서를 무참하게 소각하여 잿더미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봉고은은 돈과 다름이 없다. 프랑스 로즈 제독이 봉고은을 가져간 것은 약탈행위였다. 그러나 강화 행궁의 외규장각에서 책을 가져간 것이 놀랍다, 그것도 퇴각하는 과정에서. 불행중 다행은 그들이 '아주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서적'으로 판단하고 약취해간 것이 주로 의궤였다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