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의 통치체제 재정비
19세기 전반은 세도정치의 시대였다. 노론 외척에 의한 세도정치는 정치적 견제를 받지 않는 독재정치였다. 따라서 정치 기강은 해이해지고, 중앙에서부터 향촌의 말단에 이르기까지 부정부패가 만연하였다. 삼정의 문란1)이 최고조에 달했던 때도 바로 이 시기였다. 삼정의 문란으로 백성들의 불만도 극에 달하여 평안도 농민전쟁(홍경래난)과 임술 농민 봉기가 폭발하게 되었다. 이렇듯 전국을 뒤흔든 농민 봉기는 세도정권의 동요를 초래했을 뿐 아니라, 조선 왕조 자체의 몰락을 재촉하고 있었다.1864년, 안동김씨의 세도와 횡포 속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던 왕족 이하응은 철종이 죽자 둘째 아들 명복(고종)을 왕위에 세움으로써 정권을 장악하는데 성공한다. 그는 대외적으로 서양 세력의 통상수교 요구를 거부하는 정책을 취하고, 대내적으로는 기울어져 가는 조선 왕조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강력한 개혁에 착수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집권
세도정치는 나이 어린 국왕에게 딸을 시집보낸 외척들이 정치를 좌우하던 시기였다. 세도 정치 하에서 국왕은 허수아비에 불과하였고 세도 가문의 권력은 왕권을 능가하는 것이었다. 세도가들은 온갖 부정과 부패를 저질렀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권력 유지를 위하여 왕실에 대한 견제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철종 때의 세도 가문인 안동김씨 역시 자신들의 권력 장악 및 유지에 방해가 될 만한 왕족들은 여러 가지 누명을 씌워 제거하였다. 그와 같은 안동김씨의 횡포 속에서 이하응은 스스로 파락호2) 행세를 하여 화를 면하였다. 그는 상가집을 쫓아다니며 음식을 얻어먹기도 하고, 시정잡배들과 어울려 거리에서 투전판을 벌이기도 하는 등, 스스로 왕족답지 않은 행동을 함으로써 안동김씨의 사정권을 비켜갔다.
그렇게 때를 기다린 이하응은 철종이 주색에 탐닉하고 후사가 없자, 철종 사후를 도모하기 위한 은밀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이하응은 왕위 계승에 결정적 권한을 쥐고 있던 조대비(익종비)에게 접근해서 그의 둘째 아들 명복을 양자로 들이게 하는 한편, 명복이 왕이 되면 그의 딸을 왕비로 삼겠다고 하여 김병국을 설득해서 안동김씨 세력의 일부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 들였다.
철종이 승하하자 조대비는 “흥선군의 둘째 아들 명복은 타고난 자질이 숙성하여 임금의 도량이 있으니 들어와서 대통을 잇도록 하라”는 명을 내리고, 이어서 “국사 다난한 지금에 만기가 엉클어져 있으니 대원군3)이 내정을 협찬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사실상 이하응의 섭정4)을 공식화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하응은 권좌에 오르는데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