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2)

from 역사이야기/정리 2008. 6. 24. 10:32

부국강병의 길

─ 중상적 실학사상 ─

 중상적 실학자들은 상공업을 발전시켜 나라의 부(富)를 늘리는 것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았다. 이에 속하는 학자들로서는 유수원,홍대용,박지원,박제가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은 상공업이 발전하여 나라가 부강해지면 자연히 농민들의 생활도 나아진다고 생각했다. '스스로 재산없고 덕망 없음을 안 사람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스스로의 노력으로 물품의 교역에 종사하며, 남에게서 얻지 않고 자기의 힘으로 먹고 사는데 그것이 어찌 천하거나 더러운 일이겠는가?' 따라서 토지가 없는 농민은 도시로 가서 장사를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중상적 실학자들은 당시에 권력을 잡고 있던 노론에서 나왔다. 이들 대부분은 비록 높은 관직은 아니었다 하더라도 관직에 몸담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비교적 상공업이 발달한 도시에 살았으며 외국 여행을 통하여 견문을 넓힌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청나라의 발전된 모습을 보면서 우리도 그같이 나라를 부강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떻게 하면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는가? 무엇보다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이 점에서 이들 모두의 생각은 한결 같았다. 그러나 어떻게 하면 상공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는 각자의 주장을 달리했다. 중상적 실학사상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유수원은 상인이 주도하는 대자본의 육성을 첫째로 꼽았다. 그는 상인들이 서로 자본을 합하여 생산과 판매에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홍대용은 기술문하의 혁신과 성리학의 극복이 상공업 발전의 토대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사농공상의 신분적 차별 속에 상업이 말업(末業)으로 천시되고 있는 사회 분위기를 일신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박지원은 농산품을 상품화해서 적극적으로 유통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점이 같은 농업 문제를 보는 중농적 실학사상과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즉 중농적 실학사상이 토지 분배 문제에 중점을 두는 반면 중상적 실학사상가들은 농업 생산력의 향상과 농업 생산물의 상품화에 관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청에 다녀온 후 그는 상공업에 더욱 깊은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그는 유통경제의 발전을 위해서 수레나 선박의 이용과 함께 화폐의 유통을 적극 주장하였다. 그의 생각과 주장은 그의 소설에서도 잘 드러난다. ‘양반전’에서는 양반 문벌제도의 비생산성을 비판하였으며 ‘허생전’에서는 비록 매점매석이긴 하지만 ‘돈을 버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로써 ‘경제가 돌아가는 이치’를 일러주고 있다.

 박제가는 '북학파'라는 말을 낳게 한 장본인이었다. 그는 부국강병을 위해서는 상공업이 크게 발전한 청나라와 장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일찍이 중국차를 실은 배 한 척이 남해에 표류한 적이 있었다. 그뒤 온 나라에서 10년 동안이나 차를 마시고도 지금까지 남아 있음을 보았다'면서 '먼 지방의 물자가 통한 다음이라야 재물을 늘리고 백 가지 기구를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통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소비와 생산의 관계를 우물물에 비유하면서 소비는 생산의 촉진제라는 주장을 펴기도 하였다. 우물물의 물은 퍼내지 않으면 고이지 않는다. 퍼내는 것이 소비라면 고이는 것은 생산이라는 것, 즉 적당한 소비는 상공업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그의 주장은 그가 펼치는 경제이론이 이미 일정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중상적 실할사상은 학문의 목표를 상공업 발전과 부국강병의 실현에 두고 있다. 이는 농업에 바탕을 둔 중세사회를 지양하고 상공업에 바탕을 둔 근대사회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역사 발전의 법칙에 부합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의 주장은 이후 개화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고 또한 개화사상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중농은 분배론, 중상은 성장론

중농적 실학사상과 중상적 실학사상은 모두 다 당시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방법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둘 간에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중농적 실학사상이 '우리가 가진 빵을 서로 잘 나누어 먹자'(분배론)는 것이라면 중상적 실학사상은 '우리가 먹을 빵을 늘려가자'(성장론)는 것이다. 분배에 힘을 기울이면 빈곤의 평등이 될 수가 있고 성장에 힘을 기울이면 빈부의 차이가 커질 수 있다. 이렇듯 분배와 성장의 문제는 조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다.

 실학자들은 나름대로의 처지에서 문제 해결의 방법을 주장하였으나 그들 대부분이 몰락 남인이거나, 권력을 잡고있던 노론에 속해있었다 하더라도 낮은 지위의 관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현실 정치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권력자들에 의해 무시되어 이론과 주장에 그친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